
2024년부터 2026년 사이에
혼인신고를 한 신혼부부라면,
생애 1회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어요!
이번에 신설된 혼인세액공제때문인데요.
* 공제 금액 : 부부 각각 50만 원씩 총 100만 원.
* 필수 조건 : 혼인신고 필수.
*유의사항 : 이월 공제 불가.
*TiP !
혼인신고 후 연말정산 시 반드시
배우자 정보를 추가 등록하셔야해요!

연간 지출이 급여의 25%보다 많다면,
총 급여가 더 높은 배우자의 명의로 지출해야
세 부담 절감이 더 커질 수 있고,
지출 규모가 총 급여의 25%를 넘지 못한다면
총급여가 낮은 배우자 명의의 지출이
유리할 수 있어요.
신용카드 등 소득공제는
근로자만 적용받을 수 있어서
근로소득이 있는 배우자의 신용카드와 체크카드를
사용해야해요!
맞벌이 부부의 경우,
홈택스에서 ‘맞벌이 근로자 절세 안내’를 이용하면
최적의 공제조합을 확인할 수 있다고 있어요~
그럼!
정리해볼게요~

<신혼부부 절세 전략>
1. 공제 항목 체크리스트 작성하기.
연말정산에 필요한 자료를 미리 준비해 두세요.
특히 신혼부부라면 배우자 정보, 혼인신고 증빙 자료, 주택임차 계약서 등이 필수예요!
2. 맞벌이 전략 세우기.
부부의 소득과 지출 패턴에 따라 공제 항목을 분리하면
절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어요.
국세청에서 제공하는 맞벌이 절세 전략을 참고해 보세요.
3. 간소화 자료 꼼꼼히 확인하기.
배우자의 동의를 얻어 보험료, 의료비, 기부금 자료를 활용하면 공제 폭이 커질 수 있어요.

<신혼부부 연말정산 Q&A>
Q1. 결혼세액공제는 언제까지 신청할 수 있나요?
결혼세액공제는 혼인신고를
한 해당 연도에만 신청할 수 있어요.
연말정산 시 배우자 정보를 등록하고
관련 증빙자료(혼인신고서 사본 등)를
제출해야 공제가 가능해요!
Q2. 결혼세액공제는 생애 한 번만 받을 수 있나요?
네, 맞아요!
결혼세액공제는 생애 1회만 적용되며,
이월 공제가 불가능해요.
따라서 혼인신고를 한 연도에 반드시 신청해야해요!
Q3. 맞벌이 부부는 신용카드 사용 공제를
어떻게 나누는 게 좋나요?
맞벌이 부부는
연봉이 낮은 배우자의 명의로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것이
더 유리한 경우가 많아요.
소득에 따라 공제 한도가 달라지므로,
맞벌이 절세 전략을 참고해 계획적으로 사용하세요.
Q4. 배우자가 육아휴직 중일 때도 기본공제가 가능한가요?
육아휴직급여는 비과세 소득에 해당하므로,
배우자가 다른 소득이 없을 경우 기본공제가 가능하세요.
단, 연소득이 100만 원(근로소득만 있는 경우 총급여 500만 원)을 초과하면 기본공제가 불가능해요.
Q5. 산후조리원비는 어떤 조건에서 공제가 되나요?
산후조리원비는 연 소득과 관계없이 최대 200만 원까지
의료비 항목으로 공제가 가능해요.
단, 산후조리원 이용 후 발급받은 영수증과 관련 증빙자료를 반드시 제출해야해요!
Q6. 신혼부부도 월세 공제를 받을 수 있나요?
네, 가능해요.
부부 모두 주택을 소유하지 않았을 경우,
월세 공제를 받을 수 있어요.
월세 계약자 명의와 실제 납부 내역이 필요하며,
계약자 명의가 배우자일 경우 동의 절차가
요구될 수 있어요.
Q7. 배우자의 소득이 100만 원을 초과하면
연말정산 자료를 받을 수 없나요?
2024년부터 배우자의 소득이 100만 원
(근로소득만 있는 경우 총급여 500만 원)을 초과하면
간소화자료 제공이 원천 차단됩니다.
그러나 소득 제한이 없는
의료비, 교육비, 보험료 자료는 계속 제공되니 참고하세요.

보다 자세한 안내를 원하면,
국세청 누리집의 연말정산 종합안내를 참고하거나, 국세상담센터가 제공하는 AI상담을 통해 24시간 확인하세요!
'In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짠테크부터 재테크까지 앱테크로~ 꼭 알아야하는 돈 아끼고 돈도 버는 어플 8!🤗 (0) | 2025.01.28 |
---|---|
온누리상품권 구매 방법과 사용처, 환급행사 및 사용꿀팁! (0) | 2025.01.24 |
미라클 모닝 성공기!모닝루틴 만들기 필사하기 좋은 책~🤗 (0) | 2025.01.14 |
헤어샵 쿠폰받고 50% 할인받는 꿀팁! 평택 용죽 다움헤어 방문 진짜 후기💁♀️ (0) | 2025.01.12 |
“요즘 이런저런 일이 많아서 그래” 영어로 뭐라고 하지? (0) | 2025.01.09 |